The Way I Am 2018. 10. 10. 16:59
반응형

제 3장 효소 및 효소반응

 

6. 생물전환(bioconversio 또는 biotransformation)

 

일반적으로 생물체가 가지고 있는 효소의 촉매기능을 이용한 물질의 전환생물전환이라고 한다.

 

그리고 기질 또는 전구물질로부터 원하는 생산물(product)을 제조하는 기술생물전환기술이라고 한다.

 

발효는 미생물의 생명현상을 이용해 대사산물을 얻는 반면,

 

생물전환은 생화학 반응에 의해 원료물질을 생산물질로 변화시키는 것이라 차이가 있다.

 

 

1) 활용형태

 

세대시간이 짧고 배양이 쉬운 세균, 곰팡이, 효모 등의 미생물 또는 그 기원의 효소가 이용된다.

 

어떤 생물촉매를 사용할 것인가는 기질과 생성물의 형태, 촉매의 활성, 반응특성 및 반응기 형태, 경제성 등을 고려해 결정한다.

 

 

2) 생물전환기술의 특징 ( 효소반응의 특징 )

 

기질 특이성(substrate specificity): Lock & key hypothesis:

 

- 구조 특이성(regio-specificity): 구조가 복잡한 물질의 특정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

 

- 입체 특이성(stereo-specificity): 특정 작용기를 구분할 수 있다.

 

- 광학 특이성(enantio-specificity): 광학 이성질체의 선별이 가능하다.

 

 

3) 생물전환기술로 유용물질의 생산

 

식품공업과 세제로 출발해 정밀화학공업, 의약품 산업, 환경산업, 측정기기 산업 등으로 범위가 확장되어 왔다.

 

특히, 화학공정으로 불가능한거나 난해한 반응을 생물전환공정을 이용해 해결할 수 있다.

 

반응형